티스토리 뷰
안녕하세요? 삐요입니다.
오늘은 5세대 이동 통신, 흔히 5G 라고 알고 계신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.
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 기술이죠! 자율주행차, 스마트 도시 등 대량의 데이터 처리하는 차세대 통신기술입니다.
5G는 무엇일까요? 단순히 빨라졌다? No! 아닙니다!
하나의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선 개념 및 등장 배경, 장·단점, 5G의 현재 상황과 5G가 만들어갈 미래 등을 알아야 합니다.
#5G 개념 및 등장 배경
▶등장 배경
스마트 디바이스의 발달로 무선 데이터 트래픽 폭증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. 사물인터넷(IoT)의 데이터 트래픽 증가, 자율주행차 및 스마트시티, AI 등의 확산은 현재 보급 중인 4세대 이동통신(LTE)로는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. 이러한 초연결·지능화 사회로의 입을 위해 대용량 데이터를 연결하여 지연 없이 실시간 처리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 필수적 요소입니다.
▶데이터 증가 관련 기사
- (Cisco 5년 세계 트래픽 예측) 세계 유·무선 트래픽은 5년간('16~21년) 약 2.9배 증가할 전망
- (Etri 국내 이동통신 트래픽 예측) 한국의 경우 향후 6년간('18~23년) 이동통신 트래픽이 약 10배 증가할 전망
▶개념
5G는 4G 대비 20배 빠른 속도, 10배 많은 연결, 10배 짧은 저지연 기술입니다. 세계 이동통신 관련 기업들의 연합모임인 3GPP (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)가 '17.12월 5G-NSA (Non-Stand Alone)이라는 이름으로 초안을 발표하였습니다.
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ITU에서 지칭한 정식 명칭은 'IMT-2020' 입니다.
#5G 기술 소개 - 기술 요구사항 및 기술 진화 방향
이동통신 표준은 누가 정하는 것일까요? 국제 전기통신연합(ITU)에서 비전을 제시 → 3GPP에서 기술 표준을 개발 진행
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. 그러면 ITU-T의 5G 기술 요구 사항애 대해사 알아보겠습니다.
이러한 기술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5G 표준은 크게 세 가지 기술 진화 방향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.
▶이동 초광대역 통신 서비스(eMBB, enhanced Mobile Broadband)
현재 100 Mbps의 전송속도를 최대 20 Gbps까지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고화질의 영상 등 대용량 전송이 필요한 서비스를 충분히 감당하기 위함입니다. 15GB의 영화를 다운로드하는데 100 Mbps의 경우 1,220초가 소요되는 반면 20 Gbps의 경우 6초가 소요됩니다. 즉 초광대역 서비스로 고화질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할 것입니다.
▶초고신뢰성/저지연 통신 서비스(URLLC, Ultra-reliable and low-latency communications)
5G의 기술은 자율주행차에서도 빛을 발할 것이라고 합니다. 즉 기기간 초고신뢰성 및 저지연 통신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것인데요. 로봇 원격 제어, 자율주행차량 등 매우 짧은 시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입니다. 자율주행차로 많이들 예로 드는데요. 시속 100km의 자율 주행 차량의 제동 명령을 수신하는 데에 있어 4G는 1.4m 진행 후 정지신호를 수신하는 반면, 5G에서는 2.8cm 진행 후 정지신호를 수신하게 됩니다.
▶대규모 기기 간 통신 서비스(mMTC,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)
스마트 시티, IoT 기기들이 상호 연결되어 동작할 미래 환경에 대비한 것으로 1 제곱킬로미터 당 백만 개의 연결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 개발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.
이러한 기술의 방향성은 ITU에서 정리한 것입니다. 그렇다면 4G와 5G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겠죠?
#5G 기술 소개 - 표준 기술
앞서 소개한 기술들은 대략적인 소개였습니다. 이번에는 5G가 위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표준 기술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▶넓은 주파수 대역
5G는 빠른 속도 제공을 위해 4G 보다 더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. (sub-6GHz) 3.5 GHz 등 6 GHz 이사 주파수 대역 + 28 GHz와 39 GHz 등 밀리미터파(mmWave)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(Above 6 GHz)까지 함께 사용합니다. 기존에 저주파 대역과 달리 고주파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대용량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죠^^
▶빔포밍 기술 - 초고주파수 활용
초고주파는 속도는 빠르지만 멀리까지 전파되지 못하고 장애물 투과력이 상대적으로 약합니다.
이러한 초고주파의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빔포밍(Beamforming) 기술을 5G 표준기술로 도입하였습니다. 기존 LTE 네트워크가 서비스 지역을 하나의 원으로 한 것이 비해 빔포밍 기술은 수많은 안테나를 활용하여 정밀하게 신호를 제어합니다. 즉, 불필요한 지역으로는 서비스 제공을 하지 않고 사람이 집중된 곳으로 집중 서비스를 제공하여 거리를 늘릴 수 있습니다.
▶Massive MIMO
안테나 배열을 활용하여 무선 자원을 여러 명이 한꺼번에 사용하는 Massive MIMO도 5G 기술표준입니다. 수십 개의 안테나를 2차원 배열로 배치를 해 더 많은 다중 사용자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
이상으로 차세대 이동통신인 5G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. 개념, 등장 배경, 기술 소개를 통해 좀 디테일한 부분까지 살펴보았어요. 저도 세부 기술들을 공부할 수 있어서 좋았고, 소개해드릴 수 있어서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.
다음 시간에는 5G 기술이 어떤 분야에 사용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^.^
'IT > IT 기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폰13 구매 후기 | 카메라 성능 비교(아이폰 11 Pro, 아이폰 XS) (0) | 2021.10.06 |
---|---|
아이폰13 핑크 언박싱 | 아이폰13 실물 후기 (0) | 2021.10.06 |
네스프레소 커피머신 에센자 미니 C30 개봉 및 사용 후기!! (0) | 2019.11.03 |
알리 익스프레스(AliExpress) 어플 - 가입, 주소 입력 (1) | 2019.06.09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델레 아우노
- 리브라 백서
- 아이폰13핑크
- 시그니엘호텔
- 아이폰13
- 주식 꿈나무
- 살롱드시그니엘
- 델레
- 러쉬 입욕제
- 호캉스
- DELE
- 시그니엘
- 아이폰13언박싱
- 코로나19 물러가라
- 아난티힐튼
- iPHONE13
- 부산호텔
- 아이폰직구
- DELE A1
- 시그니엘부산
- 페이스북 주주
- 아난티코브
- 힐튼부산
- 해운대호텔
- 러쉬
- 아이폰13후기
- 코로나19 대책
- 암호화폐
- 블록체인
- POW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